<blockquote>
vs <q>
태그두가지 태그 모두 인용문에 사용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만, blockquote는 블록요소이며 q는 인라인 요소라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 따라서 비교적 긴 문장은 <blockquote>
를 사용하고 문장내에 짧게 인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<q>
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<blockquote>
: 인용 블록 요소<blockquote>
요소는 안쪽의 텍스트가 긴 인용문임을 나타냅니다. 주로 들여쓰기를 한 것으로 그려집니다.
p
태그 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. p
태그의 경우 내부에 있는 다른 자식 요소가 블록요소인 경우 자동으로 p
태그가 닫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
<q>
: 인라인 인용문 요소<q>
요소는 둘러싼 텍스트가 짧은 인라인 인용문이라는것을 나타냅니다.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는 앞과 뒤에 따옴표를 붙여 표현합니다. <q>
는 줄 바꿈이 없는 짧은 경우에 적합합니다. 긴 인용문은 <blockquote>
요소를 사용하세요.
blockquore
와 q
태그 모두 cite
를 속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cite
는 인용문의 출저 문서나 메세지를 가르키는 URL 인용문의 맥락 혹은 출처 정보를 가리킬 용도로 사용됩니다.
<pre>
태그<pre>
요소는 미리 서식을 지정한 텍스트를 나타내며, HTML에 작성한 내용 그대로 표현합니다. 텍스트는 보통 고정폭 글꼴을 사용해 렌더링하고, 요소 내 공백문자를 그대로 유지합니다. 보통 코드를 나타낼 때 사용을 합니다.
아래 코드를 브라우저 상에 출력을 해보면 모양 그대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<pre>
\\\\ ^__^
\\\\ (oo)\\\\_______
(__)\\\\ )\\\\/\\\\
||----w |
|| ||
</pre>
<figure>
& <figcaption>
태그<figure>
요소는 독립적인 콘텐츠를 표현합니다. (p태그나 blockquote태그처럼 독립적인 내용을 담고 있을 경우) <figcaption>
요소를 사용해 설명을 붙일 수 있습니다. 피규어, 설명, 콘텐츠는 하나의 단위로 참조됩니다.
<figure>
태그를 붙여 연관있는 문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 보통 들여쓰기를 한 상태로 설명이됩니다. <figcation>
태그를 이용해 설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<figcaption>
요소는 부모 <figure>
요소가 포함하는 다른 콘텐츠에 대한 설명 혹은 범례를 나타냅니다.
<figure>
<figcaption>위 그림은 특수문자로 만든 소입니다.</figcaption>
<pre>
\\\\ ^__^
\\\\ (oo)\\\\_______
(__)\\\\ )\\\\/\\\\
||----w |
|| ||
</pre>
</figure>
<hr>
태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