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ilte
, class
, id
, tabindex
, data-
, style
등이 있습니다.선택자는 뒤에서 부터 읽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. 뒤에서부터 해석을 해야하는 이유를 잘 알 수 있는 적합한 예시로는 :nth-child
가 있습니다.
만약 div > div:nth-child(3)
과 같은 선택자가 있는 경우 1. 세 번째 자식요소 중에서 2. 그 세번째 자식요소가 div태그이면서 3. 그 세번째 자식요소가 div태그가 div의 자식 요소인 녀석을 찾는 것입니다.
<div>
<h1>1</h1>
<span>2</span>
<p>3</p>
<div>4</div>
<div>5</div>
<div>6</deiv>
</div>
위 html의 구조에서는 세번째 자식 요소가 div이기 때문에 스타일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이 없는 것입니다.
<div
id="heropy"
class="heropy"
style="color:red;">
123
</div>
<style>
#heropy {
color: blue;
}
.heropy {
color: green;
}
</style>
위 코드를 적용한다면 123이라는 글자는 어떤 색으로 화면에 출력이 될까요? 이렇게 어떤 스타일이 적용될지를 구분지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상속자 우선순위(명시도) 입니다.
명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.
상속자 우선순위
!important
: 무한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