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소스명(보통 테이블명)은 명사로 표현한다. CRUD (여기서 R은 read 보다는 retrieve; 검색 을 권장)
전체 soList를 조회하는 경우
const retrieveSoList = () => {} // 훨씬 명확해짐.
아래 RESTful API 네이밍 규칙을 참고해서 변수나 함수 이름 지을 때 비슷한 규칙을 적용해보자…
REST(ful) API
REST란?

"Represetation State Transfer”의 약자.
-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(정보)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
- HTTP 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를 통해 자원(Resource)을 명시하고, HTTP Method(POST, GET, PUT, DELETE)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.
RESTful API 정의 규칙
- HTTP METHOD: 행위
- POST, GET, PATCH, PUT, DELETE
- 다른 메서드는 뭐가 있을까?
- URI PATH: 자원 (리소스)
- 자원을 표현할 때는 복수형 명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됨
- 행위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됨
*GET /stadium-owners*
*GET /stadium-owners/${stadium-owner-id}*
- 장점?
-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의도하는 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
-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한다.